티스토리 뷰
본 게시글은 [Github, Nesoy] 님의 Database의 샤딩(Sharding)이란? 글을 스크랩한 것입니다.
왜 샤딩(Sharding)이 필요할까요?
- 파티셔닝과 동일함으로 Link를 추가합니다. Link
Vertical Partitioning
- 도메인에 따라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.
- 도메인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대부분 application level에서 CRUD를 구현합니다.
샤딩(Sharding)이란?
- 같은 테이블 스키마를 가진 데이터를 다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.
- application level에서도 가능하지만 database level에서도 가능합니다.
- Horizontal Partitioning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샤딩(Sharding)을 적용하기에 앞서.
- 샤딩(Sharding)을 적용한다는것은?
- 프로그래밍, 운영적인 복잡도는 더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.
- 가능하면 Sharding을 피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.
- Scale-up
- Hardware Spec이 더 좋은 컴퓨터를 사용합니다.
- Read 부하가 크다면?
- Cache나 Database의 Replication을 적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.
- Table의 일부 컬럼만 자주 사용한다면?
- Vertically Partition도 하나의 방법입니다.
- Data를 Hot, Warm, Cold Data로 분리하는 것입니다. Link
- Scale-up
샤딩(Sharding)에 필요한 원리
- 분산된 Database에서 Data를 어떻게 Read할 것인가?
- 분산된 Database에 Data를 어떻게 잘 분산시켜서 저장할 것인가?
- 분산이 잘 되지 않고, 한 쪽으로 Data가 몰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Hotspot이 되어 성능이 느려지게 됩니다.
- 그렇기 때문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입니다.
샤딩(Sharding) 방법에 대해
Shard Key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결정됩니다.
Hash Sharding
- Shard Key : Database id를 Hashing 하여 결정합니다.
- Hash크기는 Cluster안에 있는 Node개수로 정하게 됩니다.
- 아주 간단한 Sharding 기법입니다.
단점은 없을까요?
- Cluster가 포함하는 Node 개수를 늘려보거나 줄여보면 어떨까요?
- Hash 크기가 변하게 되고. Hash Key 또한 변하게 됩니다.
- 그러면 기존에 있던 Hash Key에 따라 분배된 Data 분산 Rule이 다 어긋나게 되고.
- 결국엔 ReSharding이 필요하게 됩니다.
- 짝수번째 Node에 큰 크기의 Data만 들어간다고 가정해보면 어떨까요?
- Hash Key로 분산되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효율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.
Dynamic Sharding
- Naming 그대로 Dynamic으로 바꿀 수 있다.
- Locator Service를 통해 Shard Key를 얻습니다.
- Cluster가 포함하는 Node 개수를 늘려본다면?
- Locator Service에 Shard Key를 추가만 하면됩니다.
- 기존의 Data의 Shard Key는 변경이 없습니다.
- 확장에 유연한 구조입니다.
- Example
- HDFS : Name Node
- MongoDB : ConfigServer
단점은 없을까요?
- Data Relocation을 하게 된다면?
- Locator Service의 Shard Key Table도 일치시켜줘야 합니다.
- Locator가 성능을 위해 Cache하거나 Replication을 하면 어떨까요?
- 잘못된 Routing을 통해 Data를 찾지 못하고 Error가 발생합니다.
- Locator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.
Entity Group
- 위의 Hash Sharding과 Dynamic Sharding은 Key-Value 형태를 지원하기 위해 나온 방법입니다.
Key-Value가 아닌 다양한 객체들로 구성된다면 어떨까요?
- 우리는 RDBMS의 join, index, transaction을 사용함으로써 Application의 복잡도를 줄이는 효과를 얻었습니다.
-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Sharding하는 방법이 Entity Group입니다.
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?
- 하나의 물리적인 Shard에 쿼리를 진행한다면 효율적입니다.
- 하나의 Shard에서 강한 응집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는 자연스럽게 사용자별로 분리되어 저장됩니다.
-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확장성이 좋은 Partitioning입니다.
단점은 없을까요?
- cross-partition 쿼리는 single partition 쿼리보다 consistency의 보장과 성능을 잃습니다.
- 그렇기 때문에 이런 쿼리들이 자주 실행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.
Pitfall에 대해
Logical Shard는 반드시 Sigle Node안에 있어야 합니다.
- Dynamic Sharding을 진행하게 된다면 작업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.
- HotSpot을 찾고 Sharding을 진행합니다.
- 지속적으로 Sharding을 진행하게 된다면 가장 오른쪽 Node만 Write을 진행하게 됩니다.
- 나머지 Node들은 Read Performance가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정리하며
- Sharding을 피하는 방법을 우선 적용해보고 불가피하다면 적용하는게 좋습니다.
- 반드시 Trade-Off가 있습니다.
- Locator와 Sync해야하는 비용이 필요합니다.
- Cross-Partition Query가 발생할 경우 기존의 Query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.
Reference
'Computer Science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빅 엔디언 vs 리틀 엔디언 (0) | 2020.03.25 |
---|---|
컴퓨터에서 실수의 표현 (Fixed Point, Floating Point, Single Precision, Double Precision) (0) | 2019.11.25 |
HTTP Status Code (0) | 2019.11.13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MIT
- nlp
- LSTM
- 알고리즘
- S3
- 인공지능 스피커 호출
- 핵심어 검출
- 오디오 전처리
- MFCC
- keras
- lambda
- AWS
- boto3
- netron
- 6.006
- Tensorflow2.0
- librosa
- aws cli
- tensorflow
- BOJ
- wavenet
- RNN
- nlg
- 모델 시각화
- stft
- 알고리즘 강의
- 시계열
- TF2.0
- Introduction to Algorithm
- nlp 트렌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