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Status Code
정보(1xx)
100, Continue : 지금까지의 상태가 괜찮으며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요청을 하거나 이미 요청을 완료한 경우에는 무시해도 되는 것을 의미
성공(2xx)
200, OK: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. 성공의 의미는 HTTP 메소드에 따라 달라집니다:
GET: 리소스를 불러와서 메시지 바디에 전송되었습니다.
HEAD: 개체 해더가 메시지 바디에 있습니다.
PUT 또는 POST: 수행 결과에 대한 리소스가 메시지 바디에 전송되었습니다.
TRACE: 메시지 바디는 서버에서 수신한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
리다이렉션 메시지(3xx)
301, Moved Permanently :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. 새로운 URI가 응답에서 아마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.
클라이언트 에러 응답(4xx)
403, Forbidden : 서버가 허용하지 않는 웹 페이지나 미디어를 사용자가 요청할 때 서버가 반환하는 코드이다.
404, Not Found :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할 수는 있지만 서버가 요청한 바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.
서버 에러 응답(5xx)
500, Internal Server Error: 서버가 처리 방법을 모르는 상황과 마주쳤다. 서버는 아직 처리 방법을 알 수 없다.
Ref
'Computer Science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B] Database의 샤딩(Sharding) (0) | 2020.07.02 |
---|---|
빅 엔디언 vs 리틀 엔디언 (0) | 2020.03.25 |
컴퓨터에서 실수의 표현 (Fixed Point, Floating Point, Single Precision, Double Precision) (0) | 2019.11.25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S3
- wavenet
- MIT
- nlg
- aws cli
- boto3
- 시계열
- MFCC
- Introduction to Algorithm
- LSTM
- keras
- librosa
- RNN
- Tensorflow2.0
- TF2.0
- 오디오 전처리
- BOJ
- 모델 시각화
- stft
- netron
- AWS
- 알고리즘
- 6.006
- lambda
- nlp 트렌드
- 인공지능 스피커 호출
- tensorflow
- 핵심어 검출
- 알고리즘 강의
- nlp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